본문 바로가기
뮤직드로잉 일상

취미를 배우기 시작할 때 주의사항

by 뮤직드로잉 2022. 10. 25.
728x90


안녕하세요 취미로 즐기는 음악 
수원 기타학원 뮤직드로잉입니다

요즘에 정말 많은 분이 취미로 음악을
배우고 있는데요
주5일제에 이어 주4일제까지 나오고 있죠
그렇게 개인 여가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분이 자기 계발로 음악이나 운동, 여행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많이 하고 계십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음악 외에
러닝이나 등산, 캠핑 같은 취미를 갖고 있는데요
본인이 하는 일 외에 다른 일을 했을 때
원래 일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럼 취미를 시작할 때 중요한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어떤 취미를 하든 어느 정도의 교육이 필요합니다

등산을 예로 들면 등산할 때 어떤 정보가 필요할까요?
일단 산행하고자 하는 산의 주차장
그리고 산행 시작한 후의 이동 경로, 거리나 평균 이동 시간
같은 지식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겠고
긴급 상황을 대비해 상비약이나 휴식 시간도 가져야겠죠

그리고 다치지 않기 위해 하산할 때의 요령이나
스틱 같은 보조 도구를 통해 무릎 부상 같은 걸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로 위와 같은 것들을 조사하고
산행에 임한다면 산행로 이탈이나 시간 계산 실수로
해가 진 다음 하산을 하게 되거나 하산할 때 무릎부상으로
열심히 도전해보려 했던 등산이 일회성으로 끝나기도 합니다


캠핑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사전답사가 필요하겠죠?

맘에 드는 캠핑장 예약은 물론이고
캠핑이 처음이라면 텐트 피칭하는 법이나
화로대 사용법, 각종 도구 사용법
사소한 걸로는 버너 사용법까지...

많은 사전 조사를 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해야
적은 시행착오로 취미 생활을 가질 수 있습니다


통기타를 배우는 건 어떨까요?
유튜브나 인터넷 서칭만 잘해도
정보가 어마어마하게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잘못된 정보가 많아요

그래서 기타를 배우러 오시는 분 중
독학을 오래 했던 분들 대다수는 
잘못된 습관을 갖고 오셔서 안타까운 마음이 큽니다
차라리 아무것도 모르고 오셨을 때는
알려드리는 대로 복습만 열심히 하면 되는데
오랜 기간 잘못된 습관으로 연주해오셨기 때문에
그 습관을 고치는데 더 많은 시간이 들곤 합니다

이는 사전 조사를 했지만 잘못 조사하고
열심히 해왔기 때문이겠죠

그래서 처음 기타를 배우시는 분들에게는 
꼭 학원에서 배우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니면 신뢰할만한 기타리스트나 전공하신 분들에게
배우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기타를 칠 때 가장 많이 하시는 실수 몇가지만 추려보자면
근음에 대해 너무 신경을 안쓰는 것이 있어요
가령 C 코드를 잡으면 6번줄이 E로 
C코드에 해당하는 ‘미’음에 속하기는 하지만
6번줄을 개방현으로 연주했을 때는 C/E
즉, E를 근음으로 하게되는 C코드가 됩니다
전위코드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닌 만큼
근음에 대해 신경을 많이 써야합니다

비슷한 예로 D코드도 마찬가지인데요
D코드를 잡을 때 보통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6, 5번줄 두 줄을 뮤트 시켜주어야합니다
4번줄을 개방현으로 연주했을 때 D이기 때문에
6, 5번줄을 뮤트해주어야 D가 베이스인 D코드가
되기 때문이죠
하지만 많은 독학하시는 분들이 6번 줄만
뮤트하시곤 합니다 (혹은 아예 하지 않거나)
5번줄을 개방현으로 했을 때도 C코드와 마찬가지로
D/A라는 코드가 됩니다
A를 근음으로 하는 D코드죠


독학하신 분들의 실수로 근음에 대한 실수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박자를 많이 신경 쓰지
않는 부분이 큽니다

박자는 아주 쉬운 4비트 음악이라 하더라도
정확하게 지켜져야 하는데
연습할 때 4비트는 비교적 쉽다 보니
대충 치고 넘어가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런 것이 습관이 돼버린다면 나중에
쪼개지는 박자가 나왔을 때는 속수무책으로
다시 박자를 연습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도 합니다
쉬울 것부터 차근차근 기초를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들 재밌으려고 하는 취미 생활을 이렇게까지
어렵게 해야 해?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취미를 꾸준히 오래 가지고 가기 위해선 기초적인
것들이 잘 지켜져야 롱런할 수 있어요!
다들 멋진 취미 활동 꾸준히 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728x90

댓글